신용사면은 정부에서 성실히 빚을 갚은 소액 연체자들에게 연체 기록을 없애주는 신용회복 지원 정책입니다. 경제불황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과 소상공인들의 경제적 활동을 돕기 위해 시행합니다. 이전에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신용평점이 천천히 올랐다면 이번 지원 정책 발 빠른 신용 회복으로 도울 예정입니다. 이에 신용사면 대상자에 해당되는지, 대상자라면 신청 방법과 효과에 대해 확인해 보길 바랍니다.

목차 1. 신용사면 대상자 2. 신용사면 대상자 확인방법 3. 신용사면 지원효과 |
신용사면 대상자
신용사면 조건은 정부에서 코로나19 당시 일시적으로 연체를 한 소액 연체자들을 대상으로 특별 사면해주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1일부터 2024 1월 31까지 총 2천만 원 이하 소액 연체자면 가능하고 또한 5월 31까지 연체 금액을 모두 갚게 되어도 대상자가 됩니다. 이에 신용사면을 받을 수 있는 예상 대상자 수는 최대 298만 명으로 예측됩니다.
신용사면 대상자 확인방법
신용사면 대상자 확인방법은 나이스평가정보 외에도 한국평가데이터, SCI평가정 등 신용평가회사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합니다. 그중 나이스평가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https://www.credit.co.kr/landing.html?NaPm=ct%3Dltqsriag%7Cci%3D0CEA0037xd9zDSX0PKX2%7Ctr%3Dbrnd%7Chk%3D9b3f6aff085ab9932624e52e6ef7fceb110a1608
NICE평가정보
신용점수 상승의 첫걸음! ˙NICE® 신용점수 조회 ˙신용점수 상승 컨설팅 ˙신용정보 변동 모니터링 명의도용 완벽보호 시스템 ˙명의인증 실시간 알림 ˙온라인 본인인증 차단 ˙불법 신용조회 차
www.credit.co.kr
우선 나이스평가정보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개인인지 기업인지 선택합니다. 신용사면 대상 여부 확인하기에 들어갑니다. 비회원으로 조회도 가능하니 들어가셔서 요청되는 개인 정보를 작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대상자여부 확인하기 누르면 조회 후 대상자인지 아닌지를 알려줍니다.






2024년 2월 말 기준으로 이미 연체금을 전액 상환한 분은 개인은 약 264만 명, 사업자는 약 18만 명으로 총 280만 명 정도 됩니다. 이에 해당된다면 별도 신청 없이 신용사면이 됩니다.
신용사면 지원효과
신용사면 지원 효과는 신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새로운 출발에 앞서 큰 도움을 줍니다.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신용사면을 받은 개인은 평균 약 37점 신용점수가 높아졌고, 개인사업자는 평균 약 102점 높아졌다고 합니다. 이들은 연체기록이 자동으로 삭제되고 신용평점이 올라 일부는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고 일부는 1 금융권 은행에 신규대출을 저금리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즉 금융 기관 연체 정보가 공유되지 않고 신용평가사에도 연체금에 관하여 신용 평가에 반영되지 않게 되어 더 좋은 조건으로 또 다른 금융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채무조정을 받은 기록 기간도 2년에서 1년으로 줄어들어 채무조정 이용 시 신용정보원에 등록된 금융 거래의 제약이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신용사면 정책으로 금융취약계층 서민과 소상공인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이 현재 상황이긴 합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에서 제시한 기간과 연체금 외에도 열심히 갚아왔던 사람들에 대해서는 또 다른 지원이 없는 것에 대한 안타까운 사실과 이번 신용 사면 지원으로 신용을 회복한 사람들이 높은 확률로 다시 연체를 할 수 있어 가계 관리에 다시 한번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갤럭시 핸드폰이 모든 사용자들의 니즈에 맞을 수 없듯이, 이번 지원 정책 또한 모든 사람들의 입맛에 맞을 수 없다는 게 안타깝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양한 지원 정책들이 나와서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길 소망합니다.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2) | 2024.03.16 |
---|---|
2024 예술인 창작 지원금 (예술활동준비금지원) 신청 및 지원자격 (0) | 2024.03.15 |
2024년 주거급여 지원금 및 신청 방법 (2) | 2024.03.13 |
신생아 특례 대출 대상자, 한도 및 금리 총정리 (0) | 2024.03.12 |
늘봄학교 운영 대상 교사 채용 정보 (0) | 202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