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2023 임산부 지원사업 총정리 1편 (임산부 교통비 지원, 영양플러스 등)

by nabimom 2023. 6. 25.

 2023년 전국 출산율이 0.78%로 역대 최저로 떨어진 현재, 정부는 이전보다 더 많은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임신, 출산를 준비하고 있는 분들에게 임신, 출산 지원금을 총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2023 임산부 지원사업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임신 중, 출산 전부터 출산 후까지 필요한 병원 진료비에 사용할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사업

지원대상 지원내용 구비서류 신청방법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 피부양자 중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급

· 임신 1회당 100만원
·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
임신확인서 (병원 발급) · 오프라인 : 은행영업점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신청

· 온라인 :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버민원센터에서 신청

문의처

국민행복카드 : BC, 삼성, 롯데, KB국민, 신한 카드사 전화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8868

보건복지부 : (국번없이) 129

 

복지서비스 상세(중앙) (bokjiro.go.kr)

 

tbu/app/twat/twata/twataa/TWAT52011M

 

www.bokjiro.go.kr

 

 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포인트 개념으로 차감됩니다. 그리고 잔액확인은 각 카드사 어플리케이션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오니 합리적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영양플러스 또한 출산 전부터 임산부라면, 지원 대상 조건에 맞다면 신청가능한 영양 식품 공급 서비스입니다.

임신출산 사업 영양플러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 임산부 및 영유아 (만 66개월 이하)
· 기준 중위 소득 80%이하
· 영양식품 공급
· 영양교육 및 상담
· 가정방문 및 영양평가
1. 전화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하여 접수
2. 모집기간에 개별 안내
3. 영양위험요인조사 및 참여

문의처 : 044-202-2835(보건복지부)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 문의번호

 

정책 > 건강 > 건강증진 > 영양플러스 사업 운영 내용보기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mohw.go.kr)

 

정책 > 건강 > 건강증진 > 영양플러스 사업 운영 내용보기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대상자 기준 중위소득 80%이하의 임산부(임신부, 출산부, 수유부) 및 영유아(만6세미만) 중 영양위험요인을 가진 자 영양위험요인 :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상태 불량 등

www.mohw.go.kr

 

 출산 후에도 영유아 패키지로 받을 수도 있으니 출산 후에도 신청하실 분들은 신청하시고, 보건복지부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어 혜택을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은 교통 약자인 임산부에게 이동시 편의를 제공하고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어 건강하고 안정적인 출산을 조성하기 위한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아래 지원 내용서울시에 거주지를 두고 있는 임산부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기한 사용처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임산부 본인 명의 카드에
포인트로 지급됨)
임신 3개월(12주차)
~ 출산 후 3개월
버스, 지하철,
택시, 기차,
자가용 유류비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seoulmomcare.com)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홈페이지입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및 지원금 사용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seoulmomcare.com

  이제 시작한지 얼마 안된 지원사업인 만큼 전국적으로 많이 시행되어있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서울 외에도 여주시, 천안시 등 조금씩 다른 지역에서도 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니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 외에도 여러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2023 임산부 지원사업 총정리 2편'으로 다시 안내해드리겠습니다.